- 1대학생활과자기이해
-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목표로 시간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고객서비스능력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 2생활영어Ⅰ
-
동사를 활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작성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3직업탐구와 진로설계
-
사회에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목표로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 4생활영어Ⅱ
-
형용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5예술과 문화
-
자신의 선택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며 취업에 필요한 적절한 기초 직무역량 개발을 목표로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공동체윤리, 근로윤리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 6생활영어Ⅲ
-
문장 5형식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다 복합적인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7생활영어IV
-
고급 영문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8현장실습
-
업체에서 일정기간 동안 직접 현장 근무함으로써 학교에서 과정을 통해 배운 지식 및 테크닉을 활용하고 적용하며 보다 높은 현장감각을 익혀 취업 및 미래의 자신을 준비하는 과정
- 9패션디자인자료Ⅰ
-
국내외 트렌드 자료와 패션시장 자료를 조사하여 디자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서 디자인 기획을 위한 구체적 디자인 정보를 선별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 10패션디자인기초실습
-
패션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패션디자인을 위한 과정들을 단계별 실습, 패션 전문분야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재봉틀을 이용하거나 손바느질하여 의류나 완구, 소품 등 다양한 제품제작 실습과정에서 창의적인 능력을 기른다.
- 11디지털패션디자인
-
디지털 기술을 습득하여 속도감과 정확성을 겸비한 창조적인 패션디자인 직무 수행 능력을 기른다.
- 12패션드로잉
-
패션인체 드로잉을 통해 해부학적 지식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표현 능력과 패션상품 실루엣과 디테일 드로잉을 통해 시각적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기초 능력을 기른다.
- 13패션소재
-
섬유의 종류에 따른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용도에 맞는 섬유를 선택하며, 실, 직물, 편성물 및 기타 패션소재의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패션디자인과 기획에 필요한 소재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기른다.
- 14패턴드래프팅
-
샘플패턴 제도에 필요한 사이즈를 선정하여 샘플겉감패턴을 제작하고 가봉을 의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15 패션디자인자료Ⅱ
-
패션디자인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조사하는 방법을 익혀 디자인발 상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며, 디자인 아이디어를 패션 콘셉트에 따라 분류하고 시각화하여 디자인 감각을 개발한다.
- 16패션스케치
-
패션 디자인 의도, 형태적 구성, 디테일 요소 등 디자인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는 핸드 드로잉 능력을 키운다.
- 17 패션상품판매관리
-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고객과 판매사원을 관리하고 효과적인 판매촉진전략을 제안하며 제품 판매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18어패럴메이킹
-
봉제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생산의뢰서와 봉제공정도에 따라 부속을 제작 및 부착하고 주요 부위를 연결하여 합복하는 능력을 키운다.
- 19패션소품
-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패션소품별 품목, 스타일, 색상, 가격대를 파악하여 상품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점포의 특성에 따라 중점상품, 보완상품, 전략상품 등 패션소품의 구성 비율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203-D디자인Ⅰ
-
다양한 아이템별 시제품 디자인의 패턴을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작, 인체와 의복과의 구조적인 이해를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성과 조형적이고 창의적인 기초 능력을 키운다.
- 21어패럴디자인Ⅰ
-
디자인의 혁신성, 창의성, 상징성,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능력을 키운다.
- 22패션스팟상품디자인
-
리핏, 스팟과 같은 보완상품 디자인을 위하여 경쟁사·자사 판매 분석 및 보완상품의 생산 결정, 디자인 개발, 생산 투입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23패션브랜드기획Ⅰ
-
트렌드와 소비자 및 패션 환경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브랜드 전 략 아이디어 개발 능력을 기르며,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손익을 계산하여 다음 연도 계획을 설정하는 능력을 키운다.
- 24패션일러스트레이션
-
패션디자인 및 패션산업 관련 직무 프로세스상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각적 조형언어 구성능력을 개발한다.
- 253-D디자인Ⅱ
-
입체적인 드레이핑 살습을 통허여 다양한 패션상품 시제품 아이템별 디자인의 라인, 실루엣 및 디테일 패턴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조형적이고 창의적인 실무 능력을 키운다.
- 26어패럴디자인Ⅱ
-
선행 판매 제품의 디자인 포인트를 읽고 디자인의 시장성을 판단하는 판매 예측 능력과 디자인 변형, 응용력, 디자인에 적합한 원부자재 구성력을 키운다.
- 27패션프리젠테이션
-
패션 상품 판매 촉진을 위하여 상품설명회를 진행하고, 상품설명서 제작 및 상품 코디네이션 제안, 광고 업무 지원하기 등 제품 소개를 위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28패션브랜드기획Ⅱ
-
자사의 SWOT을 분석하고 표적시장을 점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고, 연간 업무일정을 계획하며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4P전략과 콘셉트별 물량을 설정하는 능력을 키운다.
- 29시즌전략수립
-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즌에 따른 콘셉트를 구상하고 컬러와 소재, 디자인방향을 제안하는 능력을 키운다.
- 30패션소자본창업Ⅰ
-
사이트 개발계획 수립, 사이트 디자인, 사이트 설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사업기획 자료를 활용하여 사이트의 기능, 특징, 거래유형,이용자 편의 등 사이트의 종합적인 기획안을 수립하는 능력을 키운다.
- 31패션상품기획
-
브랜드의 시즌 전략기획을 위하여 소재 별 아이템을 기획하고 월별 출고 상품을 구성하여 그에 따른 예상판매가를 제안하는 능력을 키운다.
- 32패션상품개발기획
-
패션 제품 생산을 위하여 시제품 디자인을 채택, 시제품작업의뢰서 및 시제품 진행 상황 맵을 작성하는 능력을 키운다.
- 33한국복식
-
한복 생산을 위하여 본 상품을 발주하기 전에 작업지시서에 따라 원부자재를 이용하여 견본 옷본을 제작하고 마름질, 바느질, 마무리장식하여 시제품을 생산하는 능력을 키운다.
- 34상품생산기획
-
시즌 계획된 상품 생산을 위하여 생산업체를 선정하고 상품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입출고와 완제품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35패션상품예산
-
효율적인 예산 운영을 위하여 연간매출액과 생산물량을 계획하고 예상 손익을 산출하여 예산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36패션소자본창업Ⅱ
-
사이트 기획단계에 따라 확정된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구현하고 상품 판매에 관련된 콘텐츠를 온라인상의 시스템에 맞게 변환하여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자사, 타사 사이트에서 판매 가능하도록 체계화하는 능력을 키운다.
- 37패션디자인기획
-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시즌 콘셉트를 설정하고, 컬러·소재·스타일·아트웍을 기획, 관련 맵을 작성하며, 전체 디자인 일정을 계획하는 능력을 키운다.
- 38패션상품개발
-
패션 제품생산을 위하여 시제품의 패턴 개발을 의뢰하고, 개발된 패턴에 의해 제작된 시제품을 확인, 패턴 수정을 의뢰하며, 시제품 본봉을 투입, 본봉 시제품의 완성을 확인하는 능력을 키운다.
- 39패션상품품평
-
시즌계획에 따른 최종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품평회를 계획하고 품평회를 통해 평가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스타일과 스타일별 수량을 결정하는 업무 수행 능력을 키운다.
- 40패션상품영업
-
판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통망과 매장을 관리하고 매장별 상품과 재고물량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41패션상품평가
-
패션 제품 생산을 위하여 시제품을 대상으로 품평을 진행, 품평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품평 제품 보완 및 최종 생산 제품을 선정하는 능력을 활성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