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신구대학교

부속기관 바로가기 학과사이트 바로가기

1대학생활과자기이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목표로 시간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고객서비스능력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2생활영어Ⅰ

동사를 활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작성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3직업탐구와 진로설계

사회에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목표로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4생활영어Ⅱ

형용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5예술과 문화

자신의 선택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며 취업에 필요한 적절한 기초 직무역량 개발을 목표로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공동체윤리, 근로윤리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한다.

6생활영어Ⅲ

문장 5형식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다 복합적인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7생활영어IV

고급 영문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8현장실습

업체에서 일정기간 동안 직접 현장 근무함으로써 학교에서 과정을 통해 배운 지식 및 테크닉을 활용하고 적용하며 보다 높은 현장감각을 익혀 취업 및 미래의 자신을 준비하는 과정

9패션디자인자료Ⅰ

국내외 트렌드 자료와 패션시장 자료를 조사하여 디자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서 디자인 기획을 위한 구체적 디자인 정보를 선별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10패션디자인기초실습

패션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패션디자인을 위한 과정들을 단계별 실습, 패션 전문분야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재봉틀을 이용하거나 손바느질하여 의류나 완구, 소품 등 다양한 제품제작 실습과정에서 창의적인 능력을 기른다.

11디지털패션디자인

디지털 기술을 습득하여 속도감과 정확성을 겸비한 창조적인 패션디자인 직무 수행 능력을 기른다.

12패션드로잉

패션인체 드로잉을 통해 해부학적 지식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표현 능력과 패션상품 실루엣과 디테일 드로잉을 통해 시각적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기초 능력을 기른다.

13패션소재

섬유의 종류에 따른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용도에 맞는 섬유를 선택하며, 실, 직물, 편성물 및 기타 패션소재의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패션디자인과 기획에 필요한 소재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기른다.

14패턴드래프팅

샘플패턴 제도에 필요한 사이즈를 선정하여 샘플겉감패턴을 제작하고 가봉을 의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5 패션디자인자료Ⅱ

패션디자인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조사하는 방법을 익혀 디자인발 상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며, 디자인 아이디어를 패션 콘셉트에 따라 분류하고 시각화하여 디자인 감각을 개발한다.

16패션스케치

패션 디자인 의도, 형태적 구성, 디테일 요소 등 디자인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는 핸드 드로잉 능력을 키운다.

17 패션상품판매관리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고객과 판매사원을 관리하고 효과적인 판매촉진전략을 제안하며 제품 판매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18어패럴메이킹

봉제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생산의뢰서와 봉제공정도에 따라 부속을 제작 및 부착하고 주요 부위를 연결하여 합복하는 능력을 키운다.

19패션소품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패션소품별 품목, 스타일, 색상, 가격대를 파악하여 상품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점포의 특성에 따라 중점상품, 보완상품, 전략상품 등 패션소품의 구성 비율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203-D디자인Ⅰ

다양한 아이템별 시제품 디자인의 패턴을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작, 인체와 의복과의 구조적인 이해를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성과 조형적이고 창의적인 기초 능력을 키운다.

21어패럴디자인Ⅰ

디자인의 혁신성, 창의성, 상징성,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능력을 키운다.

22패션스팟상품디자인

리핏, 스팟과 같은 보완상품 디자인을 위하여 경쟁사·자사 판매 분석 및 보완상품의 생산 결정, 디자인 개발, 생산 투입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23패션브랜드기획Ⅰ

트렌드와 소비자 및 패션 환경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브랜드 전 략 아이디어 개발 능력을 기르며,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손익을 계산하여 다음 연도 계획을 설정하는 능력을 키운다.

24패션일러스트레이션

패션디자인 및 패션산업 관련 직무 프로세스상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각적 조형언어 구성능력을 개발한다.

253-D디자인Ⅱ

입체적인 드레이핑 살습을 통허여 다양한 패션상품 시제품 아이템별 디자인의 라인, 실루엣 및 디테일 패턴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조형적이고 창의적인 실무 능력을 키운다.

26어패럴디자인Ⅱ

선행 판매 제품의 디자인 포인트를 읽고 디자인의 시장성을 판단하는 판매 예측 능력과 디자인 변형, 응용력, 디자인에 적합한 원부자재 구성력을 키운다.

27패션프리젠테이션

패션 상품 판매 촉진을 위하여 상품설명회를 진행하고, 상품설명서 제작 및 상품 코디네이션 제안, 광고 업무 지원하기 등 제품 소개를 위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28패션브랜드기획Ⅱ

자사의 SWOT을 분석하고 표적시장을 점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고, 연간 업무일정을 계획하며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4P전략과 콘셉트별 물량을 설정하는 능력을 키운다.

29시즌전략수립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즌에 따른 콘셉트를 구상하고 컬러와 소재, 디자인방향을 제안하는 능력을 키운다.

30패션소자본창업Ⅰ

사이트 개발계획 수립, 사이트 디자인, 사이트 설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사업기획 자료를 활용하여 사이트의 기능, 특징, 거래유형,이용자 편의 등 사이트의 종합적인 기획안을 수립하는 능력을 키운다.

31패션상품기획

브랜드의 시즌 전략기획을 위하여 소재 별 아이템을 기획하고 월별 출고 상품을 구성하여 그에 따른 예상판매가를 제안하는 능력을 키운다.

32패션상품개발기획

패션 제품 생산을 위하여 시제품 디자인을 채택, 시제품작업의뢰서 및 시제품 진행 상황 맵을 작성하는 능력을 키운다.

33한국복식

한복 생산을 위하여 본 상품을 발주하기 전에 작업지시서에 따라 원부자재를 이용하여 견본 옷본을 제작하고 마름질, 바느질, 마무리장식하여 시제품을 생산하는 능력을 키운다.

34상품생산기획

시즌 계획된 상품 생산을 위하여 생산업체를 선정하고 상품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입출고와 완제품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35패션상품예산

효율적인 예산 운영을 위하여 연간매출액과 생산물량을 계획하고 예상 손익을 산출하여 예산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36패션소자본창업Ⅱ

사이트 기획단계에 따라 확정된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구현하고 상품 판매에 관련된 콘텐츠를 온라인상의 시스템에 맞게 변환하여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자사, 타사 사이트에서 판매 가능하도록 체계화하는 능력을 키운다.

37패션디자인기획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시즌 콘셉트를 설정하고, 컬러·소재·스타일·아트웍을 기획, 관련 맵을 작성하며, 전체 디자인 일정을 계획하는 능력을 키운다.

38패션상품개발

패션 제품생산을 위하여 시제품의 패턴 개발을 의뢰하고, 개발된 패턴에 의해 제작된 시제품을 확인, 패턴 수정을 의뢰하며, 시제품 본봉을 투입, 본봉 시제품의 완성을 확인하는 능력을 키운다.

39패션상품품평

시즌계획에 따른 최종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품평회를 계획하고 품평회를 통해 평가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스타일과 스타일별 수량을 결정하는 업무 수행 능력을 키운다.

40패션상품영업

판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통망과 매장을 관리하고 매장별 상품과 재고물량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41패션상품평가

패션 제품 생산을 위하여 시제품을 대상으로 품평을 진행, 품평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품평 제품 보완 및 최종 생산 제품을 선정하는 능력을 활성화 한다.

부속기관

학과사이트